에드워드 2세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 《에드워드 2세》는 데릭 저먼이 감독하고 크리스토퍼 말로의 희곡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이 영화는 에드워드 2세가 동성 연인 피어스 개비슨을 총애하면서 겪는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개비슨의 권력 남용과 귀족들의 반발, 왕비 이자벨라의 음모, 그리고 결국 에드워드 2세의 비극적인 죽음을 그린다. 시대착오적인 연출과 애니 레녹스의 "Ev'ry Time We Say Goodbye" 삽입 등 독창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틸다 스윈튼은 이 영화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성소수자 영화 - 프랭키와 쟈니
테런스 맥널리의 연극을 원작으로 한 영화 프랭키와 쟈니는 과거의 상처를 가진 웨이트리스 프랭키와 새로운 삶을 꿈꾸는 요리사 쟈니가 만나 사랑을 시작하는 로맨틱 코미디로, 알 파치노와 미셸 파이퍼가 주연을 맡았으며 케이트 넬리건은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1991년 성소수자 영화 -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
패니 플래그의 소설을 원작으로 존 애브넷 감독이 연출한 1991년 영화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는 1980년대와 전간기 앨라배마를 배경으로 여성들의 우정과 연대를 그리며 인종 차별, 동성애 등 사회 문제를 다룬 드라마이다. - 영국의 성소수자 영화 - 록키 호러 픽쳐 쇼
《록키 호러 픽쳐 쇼》는 1975년 리처드 오브라이언의 록 뮤지컬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트랜스베스타이트 과학자 프랭크-N-퍼터 박사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기괴하고 섹슈얼한 이야기를 다루며, 심야 상영을 통해 컬트 클래식으로 자리매김하여 장기간 상영 기록과 코스프레, 관객 참여형 상영으로 유명하고 음악 또한 큰 인기를 얻었다. - 영국의 성소수자 영화 - 토탈 이클립스
19세기 프랑스 시인 랭보와 베를렌의 파격적인 동성애적 관계와 예술적 교감을 다룬 영화 토탈 이클립스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데이비드 듈리스가 주연을 맡았으며, 예술과 욕망, 자유와 파멸이라는 주제를 탐구한다. - 영국의 역사 영화 - 사계절의 사나이
사계절의 사나이는 1966년 프레드 진네만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토머스 모어의 삶을 다루며, 헨리 8세의 이혼과 잉글랜드 국교회 설립에 대한 모어의 저항과 순교를 통해 권력과 양심의 갈등을 그린다. - 영국의 역사 영화 - 아라비아의 로렌스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는 데이비드 린 감독의 1962년 영국·미국 합작 서사 모험 영화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T.E. 로렌스가 아랍 반란에 참여하여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웅장한 사막 풍경과 함께 묘사하며, 아카데미상 7개 부문을 수상하는 등 흥행과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논란도 있다.
에드워드 2세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데릭 저먼 |
제작자 | 스티브 클락-홀, 앤서니 루트 |
각본 | 켄 버틀러, 데릭 저먼, 스티븐 맥브라이드 |
원작 | 크리스토퍼 말로의 에드워드 2세 |
출연 | 스티븐 워딩턴 앤드루 티어넌 틸다 스윈턴 나이젤 테리 케빈 콜린스 제롬 플린 존 린치 더들리 서튼 |
음악 | 사이먼 피셔 터너 |
촬영 | 이안 윌슨 |
편집 | 조지 에이커스 |
제작사 | BBC 필름, 브리티시 스크린, 워킹 타이틀 필름 |
배급사 | 팔라스 픽처스, 업링크 |
개봉일 | 1991년 10월 18일 |
상영 시간 | 90분 |
국가 | 영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750,000 |
흥행 수익 | $694,438 |
2. 줄거리
아버지의 죽음 이후 왕위에 오른 에드워드 2세는 친구이자 연인인 피어스 개비슨을 국외 추방에서 다시 잉글랜드로 소환하여 그에게 선물, 칭호, 변함없는 사랑을 쏟아붓는다. 그들의 관계는 격정적이고 열정적이었지만, 왕국 전역에서 소문과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개비슨은 귀국 후, 이전 통치 기간 동안 잉글랜드에서 자신을 추방한 책임을 물어 윈체스터 주교를 직접 고문한다. 에드워드의 형제인 켄트가 개비슨의 귀환에 대해 처음으로 항의한다. 윈체스터 주교와 왕국의 군대를 책임지고 있는 모티머 경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같은 생각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드워드는 늘어나는 적들로부터 연인을 보호한다.
쾌락을 추구하는 에드워드는 국가의 일에서 상당히 멀어져 궁정의 고뇌와 분노를 산다 (검은 정장을 입은 침울한 남녀). 에드워드의 프랑스인 아내인 이자벨라 여왕은 연인으로부터 남편을 되찾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지만 남편에게 무자비하게 거절당한다. 사랑에 굶주린 이자벨라는 개비슨에게 의지하고, 개비슨은 그녀의 귀에 외설적인 말을 속삭이고 그녀의 반응을 조롱하며 그녀의 욕망을 불태운다.
잘생기고 쾌락을 추구하며 기회주의적인 개비슨은 국왕을 제외한 모든 사람을 물리친다. 그의 적들은 힘을 합쳐 에드워드를 폐위시키고 추방하겠다고 위협한다. 에드워드는 그들의 뜻에 따라 개비슨을 내보낸다. 연인들의 이별은 애니 레녹스가 부른 콜 포터의 "Ev'ry Time We Say Goodbye"로 장식된다.
여왕은 개비슨이 떠나면 남편과 화해할 수 있기를 바라지만, 그는 다시 그녀를 거부한다. 그녀는 남편의 애정을 되찾기 위한 마지막 노력으로 개비슨의 귀환을 허락한다. 국왕과 그의 연인은 관계를 재개하지만, 그들의 적들은 반격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이자벨라와 그녀의 연인이 된 모티머는 에드워드와 이자벨라의 어린 아들, 미래의 에드워드 3세를 통해 왕국을 다스릴 계획을 세운다. 켄트가 형을 구하려 하자, 그는 이자벨라에게 살해당한다. 귀족들은 곧 개비슨뿐만 아니라 국왕도 제거할 계획을 세운다. 그들의 지도자인 모티머는 군인이자 사도마조히스트로 개비슨과 그들의 친구인 스펜서를 "소년"이라고 부르며 그를 직접 고문하는 데서 끔찍한 쾌락을 느낀다. 그들의 고문은 경찰과 영국의 게이 권리 단체인 아웃레이지(Outrage) 회원들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동안 이루어진다.
개비슨과 스펜서가 암살된 후, 감옥에 갇힌 에드워드는 붉게 달아오른 쇠꼬챙이에 꿰뚫려 처형된다. 이 끔찍한 운명은 갇힌 국왕이 깨어나는 악몽으로 제시된다. 처형인은 도착했을 때 치명적인 무기를 버리고 그를 죽이러 온 남자에게 키스한다.
다시 성으로 돌아온 모티머와 이자벨라는 잠시 동안 그들의 승리를 즐긴다. 그동안 부모 모두에게 무시당하고 그들의 다툼을 목격한 젊은 국왕의 아들 에드워드 3세는 어머니의 귀걸이와 립스틱을 착용하고 워크맨으로 클래식 음악을 들으며 어머니와 모티머를 가둔 우리 위를 걷는다.
3. 등장인물
3. 1. 주연
3. 2. 조연
4. 제작진
역할 | 이름 |
---|---|
감독/각본 | 데릭 저먼 |
원작 | 크리스토퍼 말로 |
미술 | 크리스토퍼 홉스 |
의상 | 샌디 파웰 |
음악 | 사이먼 피셔 터너 |
5. 평가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리뷰 집계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는 10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3] ''롤링 스톤''은 이 영화를 "가슴에서 터져 나오는 절규"라고 평가했으며,[4] ''워싱턴 포스트''는 말로의 시적인 시대 언어를 유지하면서도 이야기를 간결하고 강력하게 전달한 저먼을 칭찬했다.[5] ''옵저버''는 이 영화를 "데릭 저먼의 가장 뛰어난 영화 중 하나"라고 불렀다.[6] 이 영화는 뉴 퀴어 시네마의 고전적인 예로 여겨진다.[7]
저먼의 시대착오적 사용은 많은 비평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가디언''은 의상, 에드워드 2세의 군대 묘사, 사운드트랙에서 "역사적이고 현대적인" 연대기가 교차한다고 언급했다.[8] ''뉴욕 타임스''는 "가장 이상한 터치 중 하나는 가수 애니 레녹스가 콜 포터의 'Ev'ry Time We Say Goodbye'를 애절하게 부르는 갑작스러운 등장이다"라고 썼다.[9] 콜 포터와 에드워드 2세의 유사점을 통해, 퀴어함에 대한 두려움과 LGBT 커뮤니티의 권리 옹호라는 두 시대가 교차하는 구조를 제시한다.[12] ''워싱턴 포스트''는 저먼이 "애니 레녹스에게 떠나는 가베스톤과 그의 연인에게 콜 포터의 'Every Time We Say Goodbye'를 불러주도록 한 것은 훌륭한 한 수였다. 이는 말로와 MTV의 만남이다"라고 썼다.[13]
6. 수상
틸다 스윈튼은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1]
7.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데릭 저먼 감독은 영화를 통해 동성애를 억압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정면으로 도전하였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성소수자 인권 담론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2023년 현재, 퀴어 영화, 다양성 영화 특별전 등에서 자주 상영되는 작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Edward II (2001)
https://www.bbfc.co.[...]
2021-04-15
[2]
문서
edwardii
[3]
웹사이트
Edward II
https://www.rottento[...]
[4]
뉴스
Edward II
https://web.archive.[...]
1992-04-02
[5]
뉴스
Edward II
https://www.washingt[...]
1992-04-10
[6]
뉴스
Edward II
https://www.theguard[...]
2010-03-28
[7]
서적
New Queer Cinema: A Critical Reader
Rutgers University Press
[8]
뉴스
Edward II: Derek Jarman's striking reflection on homophobia
https://www.theguard[...]
2019-12-16
[9]
뉴스
Review/Film; Historical Edward II and Gay Issues Today
https://www.nytimes.[...]
2019-12-16
[10]
웹사이트
Queers in History: June 9: Cole Porter, Songwriter
http://queerhistory.[...]
2019-12-16
[11]
웹사이트
Cole Porter's Secret Life
https://www.latimes.[...]
2019-12-16
[12]
웹사이트
Annie Lennox's 'HIV Positive' Shirt Explained
https://web.archive.[...]
2019-12-16
[13]
웹사이트
"Ev'ry Time We Say Goodbye":Song History, Commentary, Discography, Performances on Video
http://greatamerican[...]
2019-12-16
[14]
웹사이트
Edward II
https://www.boxoffic[...]
Amazon.com
2011-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